@ResponseBody(or ResponseEntity<T>) 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동작 방식의 차이점을 말해주세요.
2024-11-16 15:31:09
@ResponseBody(or ResponseEntity)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차이점@ResponseBody 혹은 ResponseEntity 반환을 사용한다면, 스프링은 컨트롤러에서 반환된 값을 HTTP 응답 본문에 직접 씁니다. 이때 자바 객체를 자동으로 JSON이나 XML 등의 타입으로 직렬화합니다. 만약, 없는 경우에는 스프링은 반환값을 뷰 이름으로 해석합니다. 뷰 이름으로 해석한 이후에, 뷰 리졸버를 사용해 뷰를 찾고 응답합니다.(뷰에 전달할 모델이 있다면, 이를 뷰에 전달하고 응답합니다.)@ResponseBody와 ResponseEntity 반환 중 어떤 방식이 더욱 좋나요? 😀@ResponseBody를 사용하는 경우, 코드를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태코드와 헤더를 유연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