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K6로 토큰 인증 절차가 필요한 API 테스트 하기2025-02-24 20:39:36부하 및 성능 테스트 도구인 k6를 사용해서 api 테스트를 진행하려던 중 JWT access token을 필요로 하는 api를 테스트하기 위해서 k6에서 어떤 식으로 토큰을 처리해야할 지 알아보자.k6 사용법 일단 기존 코드에서 access token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부터 알아보았다. JwtProvider.classprivate Key key;@Value("${jwt.accessTokenExpireTime}")private long accessTokenExpireTime;@Value("${jwt.refreshTokenExpireTime}")private long refreshTokenExpireTime;@Value("${jwt.secret}")private String secretKey;...@P..
- 성능테스트를 위한 K6 사용법2025-02-24 18:45:56k6란 성능 테스트 및 부하 테스트를 위한 오픈 소스 도구이다.웹 어플리케이션의 API 성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동시 접속, 가상의 유저, 반복 횟수 등을 설정해서 서버 응답 시간, 처리량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또한 가장 큰 장접은 Javascript 코드를 통해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 할 수 있다는 것이고 Grafana 진영에서 개발되어 연동이 수월해진다. 정리하자면grafana에서 제공javascript로 테스트 작성가상 유저, 반복, 서버 응답 시간, 처리량 등 확인 가능Docker를 통해 k6를 사용해보겠다.그냥 인텔리제이 터미널에서 진행했다.1. 설치docker image 다운로드 docker pull grafana/k6 2. 스크립트 작성초기 생성 시 존재하는 기본 코드import h..
- [feature] 댓글 공개 여부 기능 추가(1)2025-02-21 16:49:10댓글 기능을 구현한 뒤에 댓글에 비밀 댓글 기능도 있어야 한다고 판단되어서 추가하게 되었다. 댓글 공개 여부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을 변경해야할까?Entity 컬럼에 boolean 타입으로 isPublic 변수 추가하기isPublic 컬럼을 통해 비밀 댓글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로직을 프론트에서 진행할건지 백엔드에서 진행할건지에 대해 큰 고민을 하게 되었다. 프론트에서만 진행할 경우 isPublic 컬럼을 포함함 응답 dto를 받은 프론트가 비밀 댓글로 나타내야하는 경우 본문 내용을 "비밀 댓글입니다."로만 바꿔주면 된다.하지만 프론트에서만 로직을 수행하는 만큼 보안상 취약하다. 백엔드에서 로직을 진행할 경우 findAll()메서드를 통해 전체 조회를 한 후조회된 댓글 리스트를 for문을 돌면서..
-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의 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2025-02-21 10:36:49기존 개발하고 있던 서비스의 서버가 한계에 도달하는 경우, 스케일 업(Scale-Up) 혹은 스케일 아웃(Scale-Out) 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스케일 업 은 기존의 서버를 더욱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WS에서 EC2 t2.micro에서 t2.smaill로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 스케일 업입니다. 스케일 업 방식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서버의 성능을 항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서버를 무한정 업그레이드할 수 없으며, 장애에 대한 자동복구(failover)나 다중화(re-dundancy) 방안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또한 스케일 업 전략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향후 사용량을 미리 추정하여 미리 고사양의 서버를 확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 ACID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2025-02-20 10:20:02ACID는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격리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의 약자이며,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을 의미합니다.각 속성은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원자성(Atomicity) 은 트랜잭션 내부 연산들이 부분적으로 실행되고 중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트랜잭션은 전체 성공과 전체 실패 중 한 가지만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계좌 이체 트랜잭션은 다음과 같은 연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2번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1번 과정을 취소해야 합니다.1. A 계좌에 3000원 출금2. B 계좌에 3000원 입금 일관성(Consistency) 은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
- [feature] 댓글 기능 추가2025-02-19 22:49:06현재 mvp 기능들만 구현하고 배포한 웹 서비스에 댓글 기능을 추가하자는 의견이 나와서 추가해보도록 하자. 요구사항대댓글 방식은 닉네임 언급 방식으로 진행상위 댓글과 하위 댓글에 각각 페이지네이션 적용상위 댓글이 삭제될 시 하위 댓글 모두 삭제하위 댓글이 삭제되면 해당 객체 하나만 삭제설계댓글의 연관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코드 게시글 (1) - (N) 댓글TIL 게시글 (1) - (N) 댓글 회원과 연관관계를 맺지 않은 이유는 우리 서비스 상에서 회원이 자신이 작성한 댓글에 접근할 일이 없다고 판단하였기에 불필요하다 생각되어 관계를 맺지 않고 회원 아이디만 따로 컬럼으로 저장하도록 했다.또한 댓글 테이블의 컬럼 중 parent_id는 대댓글 구현을 위해 상위 댓글의 아이디를 저장하는 컬럼이다.게시글 ..
- REST란 무엇인가요?2025-02-19 18:07:44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는 자원의 표현을 이용하여 상태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합니다.여기서 자원이란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자원의 표현은 자원을 나타내기 위한 이름을 의미합니다.가령, 서버가 관리하는 주문 데이터는 order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자원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JSON 포맷을 사용합니다.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며,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구체적으로는 HTTP URI를 활용하여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 CRUD 연산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란 컴퓨터 프로그램 간 정보..
- 캐싱 전략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2025-02-17 21:13:20캐시는 성능 향상과 부하 감소를 목표로 합니다. 이때 캐시를 사용하는 양상이 서비스에 큰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따라서, 캐싱 전략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Cache Aside(Lazy Loading) 방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Cache Aside 방식은 캐시 히트 시 캐시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며, 캐시 미스 발생 시 원본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반환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은 캐시 미스가 발생하면 해당 데이터를 캐시에 적재합니다.해당 방식은 실제 요청된 데이터만 캐시에 저장되므로 불필요한 데이터 캐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캐시에 문제가 발생해도 애플리케이션은 원본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가 계속 작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캐시 미스가 발생하는 경..
728x90
반응형